본문 바로가기

언어치료2

조음음운장애란 무엇일까? 조음음운장애란?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 말소리가 부적절해 의사소통에문제가 생기는 것으로부적절한 조음을 하게 된원인을 찾아적절한 조치를 하는 것이다. * 말소리는 음성과 음운을 가짐- 음성(phone): 물리적인존재로서의 말소리로'[  ]'안에 넣어 표기- 음운(phoneme): 심리적인존재로서의 말소리로'/  /'안에 넣어 표기  19개의 자음을조음위치조음방법에 따라분류할 수 있다.구분양순음치경음치경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폐쇄음(파열음)평음ㅂㄷ ㄱ 경음ㅃㄸㄲ격음ㅍㅌㅋ마찰음평음 ㅅ  ㅎ경음ㅆ파찰음평음  ㅈ  경음ㅉ격음ㅊ비음ㅁㄴ ㅇ 유음(설측음) ㄹ      조음음운장애 오류 유형1.  첨가(addition):음소가 첨가된 형태의 오류예: 유치원GVCVGVC→츄치원C.. 2024. 12. 19.
아동의 초기 어휘 발달의 특성(초기 어휘는 인지 능력과 관련이 많다) 초기 어휘의 발달은 아동의 기초적인 인지 능력과도 관련이 많다. 1) 초기 어휘는 아동의 경험과 관련이 많아 적극적으로 직접 조작해 본 사물에 대한 낱말을 먼저 배운다. 2)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나 보사보다는 행동이나 조작과 관계되는 동사를 먼저 습득한다. 3) 의사소통적인 기능이 높은 낱말을 먼저 습득한다.(발음하기 쉽고 잘 알아듣는 말이 초기 표현 어휘로 습득되기 쉬움) 4) 초기 어휘의 발달은 낱말이 사용되는 문맥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5) 새로 습득한 낱말을 사용할 때 부모의 반응이 중요하다. 6) 대부분의 언어에서는 첫 50낱말 목록 중에서 명사가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다. 대부분의 언어에서 명사를 쉽게 습득하는 것은 참조하는 대상이 매우 구체적이기 때문이다. 동사를 학습할 경우, 아동이 .. 2020. 10.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