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어치료 관련79

자폐성 장애 진단 도구 자폐성 장애 최근 개정된 DSM-5(APA, 2013)에서는 '자폐스펙트럼 장애'가 공식적인 진단명으로 등장했으며, 자폐성 장애, 아스퍼거 장애, 비전형 자폐증, 전반적 발달장애를 모두 하나의 진단명으로 통합하였다고 한다. ICD체계에서는 여전히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자폐성 장애 진단 시 고려되는 중요한 세 가지 영역(1) 사회적 상호작용(2) 의사소통(3) 행동영역 원인자폐성 장애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 미국 질병통제 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16)에서 자폐성 장애의 원인과 위험 요인에 대해 정리한 내용이다.- 유전적인 요인은 주요 위험 요소 중 하나다.- 유전적인 영향의 중요성에 대한 증거는 쌍생아 연구.. 2025. 3. 26.
조음음운장애란 무엇일까? 조음음운장애란?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 말소리가 부적절해 의사소통에문제가 생기는 것으로부적절한 조음을 하게 된원인을 찾아적절한 조치를 하는 것이다. * 말소리는 음성과 음운을 가짐- 음성(phone): 물리적인존재로서의 말소리로'[  ]'안에 넣어 표기- 음운(phoneme): 심리적인존재로서의 말소리로'/  /'안에 넣어 표기  19개의 자음을조음위치조음방법에 따라분류할 수 있다.구분양순음치경음치경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폐쇄음(파열음)평음ㅂㄷ ㄱ 경음ㅃㄸㄲ격음ㅍㅌㅋ마찰음평음 ㅅ  ㅎ경음ㅆ파찰음평음  ㅈ  경음ㅉ격음ㅊ비음ㅁㄴ ㅇ 유음(설측음) ㄹ      조음음운장애 오류 유형1.  첨가(addition):음소가 첨가된 형태의 오류예: 유치원GVCVGVC→츄치원C.. 2024. 12. 19.
읽기에 어려움이 있다면 무엇이 문제일까?(난독증, 학습장애) 읽기 자신감 요즘 음운인식이어려운 아동들을자주 만난다. 음운인식이 어렵다면글을 읽고 쓰는데어려움이 나타난다.  음운인식이란?말소리를 듣고단어를 음소(자음, 모음)로나누고 붙일 수 있는 능력이다. 난독증 치료를 위해서는음운인식이 가능해져야 한다. 소리인지에 어려움이있다고 설명하면어머님들이 자주 하는질문이 있다."그럼 우리 아이인지가 안 좋은 건가요?","지능이 떨어지는 건가요?"  답은"지능(인지)이 정상이어도글을 읽지 못할 수도 있다" 듣고, 말하기에는문제가 없고,글만 못 읽을 수도 있다.  이 책에서는소리를 듣고입술 모양을 찾기도연습할 수 있게안내해 준다.  두 단어를 차례로들려주고 소리의차이점에 대해이야기해 볼 수도있겠다. 읽기 능력이 중요한이유는 학년이 높아질수록책 읽기가 더 어려워지고,책에서 배울.. 2024. 12. 17.
조음음운장애(발음치료) 발음(조음)/음운 문제를 가지고 있는아동이 내원했을 때,추가로 질문할 내용 1. 첫 면담 시- 처음 누가 조음 문제를 발견하였는가?- 아동의 발음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아동이 발달하기 힘든 발음은 무엇인가?- 청력검사받은 적이 있는가?(귀 질환과 관련된 병력사항이 있는가?)- 언제부터 또래와 비교했을 때,발음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했는가?- 가장 두드러진 문제는 무엇인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발적인조음 개선이 이루어지는가?- 옹알이가 정상적이었는가?구어발달 시 특이한 점이 있었는가?- 가족은 아동의 말을 잘 이해하는가?아동에게 반복을 자주 요구하는가?- 아동의 발음이 타인과상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가?- 발음 외에도 어려움을 나타내는가?(언어발달장애 동반여부)  2. 평가 계획 및 실시치료 필요성.. 2024. 7.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