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어치료 관련79

발달재활서비스 관련 정보(broso) https://www.broso.or.kr/ https://www.broso.or.kr/ www.broso.or.kr 위 사이트에서 주간활동 서비스방과후 활동서비스부목교육지원사업가족휴식지원사업긴급돌봄시범사업부모상담지원사업발달재활서비스 자격관리권리구제공공후견장애아가족 양육지원사업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서비스관련된 정보들을 찾을 수 있다. 지역별로 발달재활서비스 가격도 안내되어 있다. 2024. 6. 28.
30-36개월에는 어떤 말을 할 수 있을까? 30-36개월에 할 수 있는 것들 1. 장난감을 가지고 놀며 탐색을 한다. 그리고 설명하는 것에 흥미를 보이고, '왜', '어떻게'등의 의문사를 사용해 질문을 할 수 있다.2. 위치어를 이해하고, '앞'과 '뒤', '안에, 밖에, 위에, 밑에'를 이해하고,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다.3. 다른 아동들에게 관심을 갖지만 장난감을 공유하는 것은 어려워한다.4. 최근에 있었던 일(2-3일 전)을 기억해 질문에 대답할 수 있다.5. 형용사를 결합한 부정어를 사용할 수 있다(예: 안 예뻐, 안 매워 등). 2024. 5. 20.
[언어치료]평가(진단)보고서 작성 방법 진단보고서 작성 방법 구성사례력 평가자료와 임상적인 인상 결론 제언 1. 대상자 정보- 보고서 처음에 대상자 정보 넣기 (대상자 이름, 파일번호, 주소, 전화번호, 생일, 연령, 평가일, 평가자 이름, 의뢰자 이름 등) 필요한 경우, 대상자의 직업, 학력, 부모 이름 등 포함 가능함 2. 문제에 대한 진술- 대상자가 보이는 불평사항 간단히 기술 - 명확하게 하려면 대상자의 용어로 기술 (예: 아동이 말이 늦다는 것을 주호소로, 아동이 말을 더듬는다는 것을 주호소로 등) 3. 과거시제로 기술- 평가 시 관찰한 수행에 대해 기술 (예: “아동은 자발화에서 모든 초성 자음을 생략하였다” 등) 4. 배경정보- 대상자의 배경 기술(대상자의 사례력, 면담, 다른 전문인에 의한 보고서에서 수집) - 관련 없는 정보는.. 2024. 1. 13.
의사소통 기능 의사소통 기능 말을 산출하기 전부터 발달하는 의사소통의 기능 ★ 요구하기 - 행위 요구하기: 상대방에게 어떤 행위를 하도록 요구 - 사물 요구하기: 사물을 달라고 요구 - 정보 요구하기: 예/아니오 질문, 의문사 질문, 명료화 질문, 확인 질문 - 허락 요구하기: 허락을 요구 ★ 반응하기 - 질문에 반응하기: 예/수용, 아니요/거부, 저항, 의문사 대답하기 - 요구에 반응하기: 명료화(명료화 요구에 명료하게 하려는 시도) 순응, 거부/저항 - 반복하기: 상대의 선행 의사소통 행동을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모방하는 행동 - 의례적 반응: 선행 발화에 부합되지 않는 단순한 의례적 반응 ★ 객관적 언급 - 사물에 주의끌기: 단순히 사물에 주의를 집중하게 하는 행동 - 이름대기: 사물 또는 사건을 명명하기 - 사.. 2023. 11.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