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성 장애
최근 개정된 DSM-5(APA, 2013)에서는 '자폐스펙트럼 장애'가 공식적인 진단명으로 등장했으며, 자폐성 장애, 아스퍼거 장애, 비전형 자폐증, 전반적 발달장애를 모두 하나의 진단명으로 통합하였다고 한다. ICD체계에서는 여전히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자폐성 장애 진단 시 고려되는 중요한 세 가지 영역
(1) 사회적 상호작용
(2) 의사소통
(3) 행동영역
원인
자폐성 장애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 미국 질병통제 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16)에서 자폐성 장애의 원인과 위험 요인에 대해 정리한 내용이다.
- 유전적인 요인은 주요 위험 요소 중 하나다.
- 유전적인 영향의 중요성에 대한 증거는 쌍생아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보고되었다.
(자폐성 장애가 있는 형제자매를 둔 아동의 경우 자신 역시 자폐성 장애가 있을 확률이 더 높다)
- 약체 X증후군이나 결절성 경화증처럼 특정 유전자나 염색체를 지닌 사람의 경우 자폐성 장애를 갖게 될 확률이 더 높다.
- 임신 기간 동안 경련장애 처방 약물의 일종인 발프론산이나 임산부와 태아에게 큰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는 탈리도마이드 처방을 받은 경우 자폐성 장애와 관련한 위험성이 증가된다.
- 출생 전, 출산 시, 혹은 출생 직후는 자폐성 장애와 관련해 매우 중요한 기간이라는 증거가 있다.
- 부모의 연령이 높을수록 자녀가 자폐성 장애를 갖게 될 위험이 더 높다.
검사도구
자폐성 장애 선별·진단도구
검사명 | 연령(범위) | 구성과 문항 수 | 소요 시간 | 평가자/평가방법 | 비고 |
한국판 자폐증 진단 면담 개정판 (Korean version of Autism Diagnostic Interview-Revised: K-ADI-R) |
정신연령 2세 이상의 아동과 성인 | 총 93개 문항 (언어 및 의사소통, 호혜적 사회적 상호작용, 한정되고 반복적이며 상동적인 흥미 및 활동 영역) |
1시간 30분-4시간 | 훈련받은 평가자/부모와의 면담과 직접 관찰에 의한 면담도구 | Rutter, Le Couteur, & Lord(2003); 유희정(2007) 번역판 |
자폐증 진단 관찰 스케줄-2 (Autism Diagnostic Observation Schedule-2: ADOS-2) |
생활연령 만 1세 이상의 아동과 성인 | 대상의 표현성 언어와 연령에 따라 4개 모듈 중 한 가지 모델을 시행 | 45-60분 | 훈련받은 평가자/직접 관찰 후 채점 | Lord et al. (2002) |
한국형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 (The Korean version og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K-CARS) |
전 연령 | 총 15개 문항 (사회성-의사소통, 제한되고 반복적인 상동적 행동, 특이한 감각 반응) |
30-45분 | 훈련받은 평가자/아동관찰, 부모면담 | Schopler et al. (1988); 김태련, 박량규(1995) 번역판 |
한국어판 사회적 의사소통 설문지 (Korean version of 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e: K-SCQ) |
전 연령 | 총 40개 문항 (의사소통, 상호 사회적 상호작용,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과 관심) ADI-R에서 문항을 추출 |
15분 | 보호자/예, 아니요로 질문지 작성 및 채점 | Rutter, Bailey, & Lord(2003); 김주현 외(2015) |
한국판 길리암 자폐증 평정척도 2판 (Korean-Gilliam Autism Rating Scale-2nd edition: K-GARS-2) |
3-22세 | 총 42개 문항 (상동행동, 의사소통, 상호작용 3개 소척도로 구성) |
5-10분 | 훈련받은 평가자/구조화된 부모면담 | Gilliam(2006); 진혜경, 윤혜주, 박진박(2011) |
한국판 아스퍼거 증후군 진단척도 (Korean version of Asperger Syndrome Diagnostic Scale: K-ASDS) |
5-18세 | 총 50개 문항 (언어, 사회성, 부적응행동, 인지, 감각운동 등 5개의 소척도로 구성) |
10-15분 | 보호자/예, 아니요로 구성된 설문지 작성 | Myles, Bock, Simpson(2001); 김주현, 신민섭(2005) |
한국판 영유아 자폐 선별검사 (Korean Modified-Checklist of Autism in Toddlers: KM-CHAT) |
16-36개월 | 총 23개 문항 (다른 아동에 대한 관심, 흥미로운 것 가리키기, 소리에 대한 민감성, 어른 모방하기, 이름에 반응하기, 허공 응시 등) |
15분 | 부모/예, 아니요로 작성 후 자가진단 | Robins et al. (2001); 김수진, 승혜경, 홍경훈(2013) |
한국판 영유아기 자폐증 선별검사 (Korean Checklist for Autism in Toddlers: K-CHAT) |
18개월 이상 | 총 14개 문항 (부모용 9개, 관찰용 5개) |
40-90분 | 훈련받은 관찰자와 부모/관찰 후 평정 | Baron-Cohen, Allen, & Gillberg(1992); 김아영, 김현정, 이순행(2002) |
지능검사도구
검사명 | 연령(범위) | 구성과 문항 수 | 소요 시간 | 평가자 | 비고 |
한국판 웩슬러 유아지능검사 4판(Korean Wechsler Primary and Preschool Scale Intelligence-4th edition: K-WPPSI-4) | 만 2세 6개월-7세 7개월 | 2세 6개월-3세 11개월용 7개의 소검사 4세-7세 7개월용 15개의 소검사 |
1시간-1시간 30분 | 훈련받은 평가자 | Wechsler(2012); 박혜원, 이경옥, 안동현(2015) |
한국판 웩슬러 아동지능검사 4판(Korean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4th edition: K-WISC-4) | 만 6-16세 11개월 | 주요 소검사 10개, 보충 소검사 5개로 구성 | 1시간-1시간 30분 | 훈련받은 평가자 | Wechsler(2003); 곽금주, 오상우, 김청택(2011) |
한국판 카우프만 아동용 지능검사(Korean version of the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2nd edition: KABC-2) | 만 3-18세 | 16개 하위검사 | 1시간-1시간 30분 | 훈련받은 평가자 | Kaufman & Kaufman(2004); 문수백(2014) |
국립특수교육원 한국형 개인지능검사(Korean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Korea Intelligence Test for Children: KISE-KIT) | 만 5-17세 | 총 167개 문항 동작성 검사(그림 배열, 이름 기억, 칠교놀이, 숨은 그림, 그림무늬, 손동작) 언어성 검사(낱말 이해, 계산, 낱말 유추, 교양, 문제해결, 수 기억) |
1시간-1시간 30분 | 훈련받은 평가자 | 박경숙 외(2002) |
의사소통 평가 검사도구
검사명 | 연령(범위) | 구성과 문항 수 | 소요 시간 | 평가자/평가방법 | 비고 |
그림어휘력검사 (PPVT) |
만 2세-8세 11개월 | 총 112개 문항 | 1시간 | 훈련받은 평가자/ 검사자가 지시하는 그림을 지적하게 하고 반응 채점 |
김영태 외 (1995) |
영 ·유아 언어발달검사 (SELSI) |
만 4-35개월 | 총 112개 문항 수용언어검사 56문항 표현언어검사 56문항 |
1시간 | 훈련받은 평가자/ 행동을 관찰하여 실시 |
김영태 외 (2003) |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 (PRES) |
2-6세 | 총 90개 문항 2영역(수용언어, 표현언어) 각 영역별로 45개 문항 3세까지는 3개월 간격, 3-6세까지는 6개월 간격으로 연령단계가 세분화되어 있음 |
20-30분 | 훈련받은 평가자/ 문항에 대한 응답 채점 |
김영태 외 (2003) |
한국어판 사회적 의사소통 설문지 (K-SCQ) |
전 연령 | 총 40개 문항 의사소통, 상호 사회적 상호작용,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과 관심 ADI-R에서 문항을 추출 |
15분 | 보호자/ 예, 아니요로 질문지 작성 및 채점 |
Rutter, Bailey, & Lord(2003); 유희정(2008) |
한국판 맥아더-베이츠 의사소통발달 평가 (M-B CDI-K) |
8-36개월 | 영아(8-17개월)의 경우 어휘: 표현낱말(279개)+이해낱말(284개) 제스처와 놀이: 60개 항목 유아(18-36개월)의 경우 어휘: 표현낱말(641개) 문법: 사용정도(5개), 사용의 적절성(32개) |
- | 아동의 어휘와 의사소통 수준을 잘 아는 보호자 및 성인/체크리스트 형식에 의한 설문 보고 | Fenson et al. (1993); 배소영 외(2006) |
수용 ·표현 어휘력 검사 (REVT) |
만 2세 6개월- 16세 이상 성인 |
총 370개 문항 수용어휘력검사 185문항, 표현어휘력검사 185문항 |
1-2시간 | 훈련받은 평가자/ 문항에 대한 응답 채점 |
김영태 외 (2009) |
구문의미이해력검사 | 만 4-9세 (초등학교 3학년) |
총 57개 문항 문법형태소/구문구조/의미에 각각 초점을 맞춘 문항으로 구성 |
10-15분 | 훈련받은 평가자/문항에 대한 응답 채점, 연속해서 3번 틀리면 중지 | 배소영 외 (2004) |
언어문제해결력검사 | 만 5-12세 | 각각 상황이 다른 17장명의 그림판 그림판은 총 50문항으로 구성 |
20-30분 | 훈련받은 평가자/ 그림판을 보여주며 관련된 검사자의 질문을 하고 대답 채점 |
배소영 외 (2000) |
적응행동 검사도구
검사명 | 연령(범위) | 구성과 문항 수 | 소요시간 | 평가자/평가방법 | 비고 |
사회성숙도검사 (SMS) |
30세 이하 | 총 117개 문항 자조(39문항), 이동(10문항), 작업(22문항), 의사소통(15문항), 자기관리(14문항), 사회화(17문항) |
1시간 | 훈련받은 평가자/ 부모 또는 보호자와 면담 |
Doll(1965); 김승국, 김옥기 (1985) |
한국판 적응행동검사 (K-ABS) |
만 3-17세 | 총 95개 문항 1부는 9개 영역과 56개 문항, 2부는 12개 영역과 39개 문항 |
30분 | 훈련받은 평가자/ 보호자와 면담하거나 수검자를 직접 관찰하여 체크리스트 표시 |
미국정신지체협회 적응행동검사 학교용 (AAMR Adaptive Behavior Scale-School Edition, 1981); 김승국(1990) |
국립특수교육원 적응행동검사 (KISE-SAB) |
만 5-17세(지적장애학생), 만 21개월-17세(비장애 학생) | 총 242개 문항 3개의 소검사(개념적/사회적/실제적 적응행동 검사, 각 72/68/102문항) |
1시간 30분-2시간 | 훈련받은 평가자/ 보호자, 교사 및 서비스 제공자의 면담을 통해 수검자의 적응행동 평가 |
정인숙 외 (2003) |
한국판 적응행동검사 (K-SIB-R) |
만 11개월-17세 | 총 259개 문항 7영역(독립적 적응행동 4영역, 문제행동 3영역) |
20-30분 | 훈련받은 평가자/ 보호자 면담 |
Bruininks et al. (1996); 백은희 외 (2007) |
지역사회적응검사 (CIS-A) |
전 연령 | 총 164개 문항 3개의 하위(기본생활, 사회자립, 직업생활) |
1시간-1시간 30분 | 훈련받은 평가자/ 수검자와 면대면으로 그림을 이용하여 적응 기술 평가 |
김동일 외 (2004) |
문제행동 검사도구
검사명 | 연령(범위) | 구성과 문항 수 | 소요시간 | 평가자/평가방법 | 비고 |
한국판 아동·청소년 행동 평가척도 부모용 (K-CBCL 6-18) |
만 6-18세 (초등학교 1학년-고등학교 3학년) |
문제행동척도 총 120개 문항(증후군척도, DSM진단척도, 문제행동특수척도), 적응척도(사회성, 학업수행) | 15-20분 | 보호자(주양육자)/부모보고식 검사 | Achenbach & Rescorla(2001); 오경자, 김영아 (2011) |
한국판 정서-행동 평가 (K-BASC-2) |
초등학교 3-6학년/ 청소년(중·고등학생) |
초등 3-6학년용 총 139개 문항/청소년용 총 176개 문항 | 40-50분 | 본인/ 자기보고식 검사 |
Reynolds & Kamphaus(2004); 안명희(2007) |
유아(2-5세) 아동(6-11세) 청소년(12-21세) |
유아 134문항/아동 160문항/청소년 150문항 | 40-50분 | 부모/ 자기보고식 검사 |
||
유아 100문항/아동 139문항/청소년 139문항 | 40-50분 | 교사/ 교사보고식 검사 |
|||
한국판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척도 교사용 (K-C-TRF) |
만 6-18세 (초등학교 1학년-고등학교 3학년) |
문제행동척도 총 120개 문항(증후군척도, DSM진단척도, 문제행동특수척도), 적응척도(성적, 학교적응) | 15-20분 | 아동 및 청소년을 담당하거나 잘 알고 있는 교사/교사보고식 검사 | Achenbach & Rescorla(2001); 오경자, 김영아(2011) |
한국판 청소년 행평가척도 자기보고용 (K-YSR) |
만 11-18세 (중학교 1학년-고등학교 3학년) |
문제행동척도 총 119개 문항(증후군척도, DSM진단척도, 긍정자원척도), 적응척도(사회성, 성적) | 15-20분 | 본인/ 자기보고식 검사 |
Achenbach & Rescorla(2001); 오경자, 김영아(2011) |

출처: 자폐성 장애학생 교육
방명애·박현옥·김은경·이효정 공저
학지사
'언어치료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음음운장애란 무엇일까? (0) | 2024.12.19 |
---|---|
읽기에 어려움이 있다면 무엇이 문제일까?(난독증, 학습장애) (0) | 2024.12.17 |
조음음운장애(발음치료) (0) | 2024.07.31 |
발달재활서비스 관련 정보(broso) (0) | 2024.06.28 |
30-36개월에는 어떤 말을 할 수 있을까? (0) | 2024.05.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