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음음운장애란?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
말소리가 부적절해 의사소통에
문제가 생기는 것으로
부적절한 조음을 하게 된
원인을 찾아
적절한 조치를 하는 것이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niniz/large/025.gif)
* 말소리는 음성과 음운을 가짐
- 음성(phone): 물리적인
존재로서의 말소리로
'[ ]'안에 넣어 표기
- 음운(phoneme): 심리적인
존재로서의 말소리로
'/ /'안에 넣어 표기
19개의 자음을
조음위치
조음방법
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구분 | 양순음 | 치경음 | 치경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폐쇄음 (파열음) |
평음 | ㅂ | ㄷ | ㄱ | ||
경음 | ㅃ | ㄸ | ㄲ | |||
격음 | ㅍ | ㅌ | ㅋ | |||
마찰음 | 평음 | ㅅ | ㅎ | |||
경음 | ㅆ | |||||
파찰음 | 평음 | ㅈ | ||||
경음 | ㅉ | |||||
격음 | ㅊ | |||||
비음 | ㅁ | ㄴ | ㅇ | |||
유음(설측음) | ㄹ |
조음음운장애 오류 유형
1. 첨가(addition):
음소가 첨가된 형태의 오류
예: 유치원GVCVGVC→츄치원CGVCVGVC
사탕CVCVC→산탕CVCCVC
2. 생략(omission):
음소를 일부 생략하는 오류
예: 동그라미CVCCVCVCV→동가미CVCCVCV
3. 대치(substitution):
다른 음소로 바꾸는 오류
예: 가방→바방
4. 왜곡(distortion):
음성학적 오류인 소리
5. 왜곡을 동반한 대치:
일반적으로 대치에 포함
대치 동시에 대치음소의
왜곡형태로 산출
[자음의 경우]
첨가와 생략
은 초기단계 오류
▼
대치
▼
왜곡
생략과 첨가가 많을수록
조음장애 정도가 더 심각함
오류의 숫자가 같다면
대치가 많을수록 더 심각함
[모음의 경우]
첨가와 생략이 많을수록
조음장애 정도가 약함
일상에서 'ㅜ'활음계열의
이중모음들은 단모음화되는
것이 일반적임
어중에서의 'ㅎ'는
대부분 생략되므로
오류로 분석하지 않음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32.gif)
말 명료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1. 말소리 오류의 종류:
첨가, 탈락과 같은 음절구조변동이
명료도를 가장 많이 낮춤
첨가, 탈락 > 대치 > 왜곡
2. 오류 말소리의 일관성:
비일관된 오류 > 일관된 오류
3. 오류 말소리의 빈도:
고빈도 말소리 오류시
(ㄴ, ㄹ, ㄱ, ㅈ)
명료도 더 낮아짐
4. 화자의 운율적 요소:
말속도, 높낮이 변화, 음질,
강도, 유창성 등도 명료도에
영향
5. 친숙도: 청자의 능력도 영향
무엇을 목표로
치료해야 할까?
1. 고빈도 음소 먼저 정조음
2. 열쇠낱말 찾아 치료
3. 일관성이 없는 소리부터 치료
4. 발달상의 적절성 고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4.gif)
출처: 조음음운장애(시그마프레스)
김수진/신지영 지음
'언어치료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읽기에 어려움이 있다면 무엇이 문제일까?(난독증, 학습장애) (0) | 2024.12.17 |
---|---|
조음음운장애(발음치료) (0) | 2024.07.31 |
발달재활서비스 관련 정보(broso) (0) | 2024.06.28 |
30-36개월에는 어떤 말을 할 수 있을까? (0) | 2024.05.20 |
[언어치료]평가(진단)보고서 작성 방법 (0) | 2024.0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