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뇌손상 환자의 의사소통장애를 평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뇌손상 환자를 평가하기 위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반응형
1. 의뢰, 사례사 및 환자에 대한 의료 검진으로부터 환자의 문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2. 증상들과 징후들이 환자의 현재 문제 및 치료사의 치료 계획과 관련이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 환자의 주관적인 보고서, 객관적인 검사 결과를 평가한다.
3. 증상들과 징후들의 변별적인 군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4. 관찰 가능한 증상 및 증후를 일으키는 기본적 신체 혹은 정신 프로세스를 확인하기 위해 증상들과 징후들 사이에 관련성을 찾아본다.
5. 환자의 증상들과 징후들이 하나의 증후를 대표한다면 진단을 내린다.
6. 환자의 상태가 일상생활의 독립과 수행에 미치는 정도에 대한 결론을 내리기 위해 환자의 사례사, 의료 검진 결과, 환자의 생활수준에 대한 정보 등을 사용해야 한다.
7. 치료가 필요하다면 치료의 잠재적인 영향, 최적의 치료 프로그램의 본질 등을 고려하기 위해 임상 경험 및 참고 문헌으로부터 관련 정보를 추가로 사용한다.
출처
제목: 신경의사소통장애 진단 및 치료
지은이: 신영선, 최양규, 안종복
출판사: 한국언어치료학회
'언어치료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청소년 심리지원]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0) | 2022.03.21 |
---|---|
[애착] 안정된 애착을 위한 양육태도 (0) | 2021.12.06 |
[dysarthria] 마비성 운동구어장애 (0) | 2021.10.07 |
[자폐성장애] 알아두면 유용할 용어 정리 (0) | 2021.09.09 |
[ABA] 자폐아동 글자 읽고 쓰기 가르치는 방법 (0) | 2021.08.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