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 관련79 언어 샘플의 구문 분석하는 방법과 언어 이해를 검사하는 방법(학령기 아동) 책 에 나와있는 언어 샘플의 구문 분석에 대한 일반적인 지침방법입니다. · 대화 샘플을 얻으라. · 철자법에 맞게 샘플을 전사하라(대상자의 발음에 오류가 있다면 음성 전사를 하라). · 샘플에서 오류를 표시하라. - 오류가 포함된 문장을 찾아서 형광펜으로 표시하라. - 형광펜으로 표시한 문장 중 오류 부분에 동그라미를 쳐라. · 아동이 정확하게 사용하는 형태/구조의 목록을 만들라. · 아동이 일관되게 잘못하는(한 번도 맞은 적이 없는) 형태/구조의 목록을 만들라. · 비일관되게 잘못 사용하는 형태/구조가 나타나는 문맥의 목록을 만들라 - 형태/구조가 정확히 사용된 문맥을 나열하라. - 형태/구조가 잘못 사용된 문맥을 나열하라. · 문맥의 영향이라고 고려되는 일반적인 변수는 다음과 같다. - 문장의 구조적.. 2020. 11. 16.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이해-이승희(학지사)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이해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책을 읽어 보겠습니다. 이 책은 제가 꽤 오래전에 구입해서 읽었던 책인데 이번에 다시 한 번 정리해 보았습니다. 요즘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자폐 스펙트럼이라는 용어(많은 부모님들께서도 '자스'라고 줄여서 사용하고 계시더라고요), 이 용어가 도입된 배경으로는 많은 임상가들은 자폐증이 Kanner가 기술한 특성과 유사한 특성들이 나타나지만 자폐장애로 진단하기에는 부절절하게 보이는 많은 아동들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면서 부터라고 합니다(Siegel, 1996).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아동들은 평가를 거치면 세 가지 핵심손상과 관련해 다양한 증상과 수준을 보인다는 것입니다. 세 가지 영역(사회적/의사소통/상상력의 손상)의 손상은 항상 문제를 나타내지만 개인 간의 정도.. 2020. 10. 28. 자폐아동을 위한 사회성 이야기 그림책(의사소통과 놀이, 감정 가르치기) 자폐증은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반복적이고 의례적인 행동 등 세 가지 영역의 장애를 진단 기준으로 한다(미국 정신의학회, 1994). 사회적 상호작용 문제: 의사소통이나 놀이를 시도하거나 반응하는 데 어려움, 비언어적 몸짓을 사용하거나 반응하는 데 장애가 있음, 눈 맞춤을 잘하지 않거나 길게 하지 않고, 다른 사람의 감정에 잘 반응하지 못하며, 또래 관계를 발전시키지 못함. 의사소통 문제: 실용적이고 문법적이며 구조적인 언어 발달의 장애. 다른 사람의 말이나 행동을 고려하지 않고 문장을 외워서 말하며, 추상적 단어나 속담에 나오는 단어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함. 반복적, 의례적인 행동: 관심을 보이는 대상이 한정됨. 같은 동작을 반복(같은 구문을 반복해서 말하거나 손 흔들기, 구르기, 빙빙 돌기 같은 동작 .. 2020. 10. 19. 실어증의 유형 및 특징(브로카/베르니케/전도성/명칭/전체성/초피질 감각/초피질 운동) 실어증은 언어장애로 주로 언어를 표현하고 이해하는 데 필요한(의미적, 음운적, 형태론저, 구문적 지식을 포함) 뇌영역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손상영역과 실어증 유형에 따라 언어를 표현하고 이해하는 능력이 서로 다르다. 일부 실어증 유형에서는 마비 말장애를 수반하는 경우도 있지만, 실어증 자체가 말소리 산출 영역 및 경로손상으로 인한 조음장애는 아니다. 같은 뇌영역이 손상되었다 하더라도 환자마다 서로 다른 유형의 실어증이 유발되기도 한다. 반대로 뇌의 서로 다른 영역이 손상되었더라도 경우에 따라 유사한 실어증이 유발될 수도 있다. 병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들은 매우 다양하다. 나이, 손잡이, 이전에 발생했던 뇌손상, 발작, 우울증 혹은 기타 의학적/심리학적 장애들은 뇌와 행동 간의 관계에 영향을 .. 2020. 10. 18. 이전 1 ··· 16 17 18 19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