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증은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반복적이고 의례적인 행동 등 세 가지 영역의 장애를 진단 기준으로 한다(미국 정신의학회, 1994).
사회적 상호작용 문제: 의사소통이나 놀이를 시도하거나 반응하는 데 어려움, 비언어적 몸짓을 사용하거나 반응하는 데 장애가 있음, 눈 맞춤을 잘하지 않거나 길게 하지 않고, 다른 사람의 감정에 잘 반응하지 못하며, 또래 관계를 발전시키지 못함.
의사소통 문제: 실용적이고 문법적이며 구조적인 언어 발달의 장애. 다른 사람의 말이나 행동을 고려하지 않고 문장을 외워서 말하며, 추상적 단어나 속담에 나오는 단어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함.
반복적, 의례적인 행동: 관심을 보이는 대상이 한정됨. 같은 동작을 반복(같은 구문을 반복해서 말하거나 손 흔들기, 구르기, 빙빙 돌기 같은 동작 등)하며, 자기만의 의례적인 규칙을 갖음. 생활에 변화가 있을 때 매우 흥분하거나 불안해하는 모습을 보임.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을 가르칠 때 시각적 지원의 중요성
자폐 아동들은 종종 언어로만 설명이 주어질 때 원활하게 학습하지 못함.
① 추상적인 개념을 보다 구체적으로 만들 수 있다.
② 학생들이 집중하지 않아서 청각적 정보를 놓치더라도 오랜 시간에 걸쳐 남는다.
③ 집중할 수 있는 더 강력한 수단을 제공한다.
문제 행동 해결하기
기능 | 부적절한 행동 | 목표 기술 |
회피 | 짜증 부리기, 신체적 혹은 언어적 공격 행동 하기, 거절 및 거부하기 | 휴식 요청하기, 더 오랜 시간 요청하기, 과제를 더 쉽게 하기 위해 도움 요청하기, 어려운 것 시도하기, 실수에 대처하기 |
관심 유도 | 괴롭히기, 이상한 소리 내기, 부적절한 농담이나 말 하기, 아프다고 불평하기 | 의사소통이나 놀이 시도하기, 의사소통이나 놀이에 참여하기, 도움 청하기, 다른 사람에게 어떤 것을 보여 주거나 물어보기 |
자기 자극 | 구르기, 손 흔들기, 빙빙 돌기 | 덜 심한 방법으로 자기 자극 행동 하기, 다른 방법으로 휴식이나 위안 받기 |
확실한 보상 | 장난감 때문에 짜증 부리기, 보상이 주어질 때까지 아무것도 안하기 | 원하는 것을 참기 혹은 거절 수용하기, 협상 기술 익히기 |
화풀이 | 엉뚱한 사람데 대해 언어적 혹은 신체적으로 공격하기, 지시 거부하기 | 화가 난 이유 찾기(소리 지르기 또는 꾸짖기), 행동으로 표출하기보다 감정 표현 하는 방법 배우기 |
보복 | 뒤에서 놀리기, 뒤에서 때리기, 화나게 한 사람 물건 훔치기 | 감정을 인식하고 적절하게 표현하기("나는_______때_______래서 기분이 _____."와 같이 긍정적으로 감정 표현하기), 누군가에게 그만 하라고 말하기, 무시하기, 어른에게 말씀드리기 |
- 일인용 사회성 그림책을 만들 때 고려해야 할 것
필요한 모든 기술들을 모두 모을 수는 없으니 가장 융통성 있게 특정한 사회적 상황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 사람만을 위한 사용성 그림책을 만들 필요가 있다.
아동은 그림을 주고받으며 역할놀이를 할 수 있고, 보다 오래 집중할 수 있으며, 자기 사진을 이용하여 책을 만드는 과정에 참여할 수도 있다.
일인용 그림책을 만들 때 고려해야 할 점
① 목표 기술
② 기술 분석
③ 가르치고 싶은 지각, 사고, 혹은 감정
④ 책을 만드는 방법
사회성 기술 가르치기
- 하나씩 가르치기: 기본적인 언어, 학습 기술과 초보적인 사회성 기술을 가르칠 때 사용하며 매우 개별화된 방법으로 종종 물리적 촉구를 사용한다. 그러므로 아동의 언어 능력과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하나씩 나누어 가르치기는 단서, 촉구, 행동, 강화로 구성된다.
- 우연적 교수: 구조화되지 않은 일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방법의 목표는 사회적 환경을 충분히 제공하여 아동이 사회적 단서와 규칙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구조화되지 않은 의사소통과 놀이 시간에 유용하다.
- 인지적 그림 연습: 만화 같은 그림과 긍정적 강화 원칙을 결합한 것이다. 세 가지 내용-문제 상황의 선행 사건, 목표 행동, 긍정적 강화-을 항상 그림이나 사진으로 보여 준다. 카드에 그림을 그리고, 각 카드 뒷장에 사건의 순서를 짧게 설명한다. 카드에 그려진 행동을 반복할 수 있을 때까지 아동은 카드를 본다. 그리고 문제 상황에 들어가기에 앞서 그림을 다시 본다.
- 구조화된 학습: 설명, 모델링, 피드백이 있는 역할놀이, 집단 내외에서의 연습 등 네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출처: 자폐아동을 위한 사회성 이야기 그림책(시그마프레스)
'언어치료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어 샘플의 구문 분석하는 방법과 언어 이해를 검사하는 방법(학령기 아동) (0) | 2020.11.16 |
---|---|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이해-이승희(학지사) (0) | 2020.10.28 |
실어증의 유형 및 특징(브로카/베르니케/전도성/명칭/전체성/초피질 감각/초피질 운동) (2) | 2020.10.18 |
아동의 초기 어휘 발달의 특성(초기 어휘는 인지 능력과 관련이 많다) (2) | 2020.10.16 |
실어증의 특성과 언어치료 방법 (0) | 2020.10.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