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09 의사소통이 힘든 아동과 어떻게 대화할까요? 자폐 아동과 같은 의사소통이 힘든 아동과 대화 시 너무 많은 질문과 어려운 질문을 계속한다면 어떻게 될까? 아동이 수동적으로 대답만 하게 되거나 반향어가 증가하게 될 수도 있다. 또는 감각 진정 전략을 사용해 손뼉을 치거나 탁자를 두드리거나 폴짝폴짝 뛰는 등의 행동을 할 가능성이 있다. 다른 사람의 말을 모방 후 다시 사용하는 대화가 가능한 아이들은 질문을 연속해 들으면 이 모델을 습득하게 된다. 그래서 아이들도 먼저 질문하는 방식으로 대화를 지속하려 하기도 한다. 질문을 힘들어한다면 질문을 줄이고 많은 모델링을 들려줘 자연스러운 발화를 늘릴 수 있도록 기회를 주고 쉬운 질문을 해야 한다. 같은 질문을 반복해주고 엄마 아빠가 직접 대답의 일부를 시작해주고 아이가 대답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유도해준다. 아.. 2021. 5. 24. 영유아기 의사소통 및 언어발달 장애의 원인 영유아기 의사소통장애의 원인 영유아기의 의사소통장애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현재 밝혀진 원인들에는 유전 및 염색체 이상이 있다. 예를 들어 다운증후군이나 윌리엄스 증후군, 취약 X 증후군 등이 있다. 그리고 선천적 기형이나 스펙트럼 장애, 후천적 질병과 외상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정서나 정신건강의 문제로도 의사소통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언어 자극을 충분히 받지 못하는 환경에 놓이거나 정서적 또는 신체적 외상으로 인해 언어 발달이 지체되기도 한다. 또한 임신 중, 산모가 약물이나 알코올을 섭취할 경우 태아는 심각한 기형을 동반할 수 있고 언어발달장애를 가질 위험이 증가한다. 언어발달을 보이는 지적장애의 원인 지적장애를 야기하는 원인은 매우 다양하지만 크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나눠볼 수 있다. -.. 2021. 5. 24. 자폐아동의 상상놀이 자폐 아동들은 상상놀이를 특히 어려워한다. 자연스러운 상상놀이를 어려워하는 아동에게 촉진해 줄 수 있는 방법들이 있다. 적절한 놀잇감을 선택해 적절한 방식으로 갖고 노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목표이다. - 아이가 흥미를 갖는 장난감 중 단순하게 한두 개를 선택한다. 장난감의 수가 너무 많으면 혼란스러워 주의를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 한두 가지 장난감에 숙달되면 더 많은 놀잇감을 가지고 놀게 할 수 있다. - 화려하고 많은 장식이 있는 것보다는 실제 사물과 비슷해 보이는 장난감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색이 많거나 화려하면 감각적 과부하를 가져올 수 있고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 인형의 집이나 가구 등 집에서 자주 보는 물건들의 모형은 유용한 놀잇감이 된다. - 자폐 아동들은 상상력이 손상되어 있기.. 2021. 5. 23. 문제행동의 유형과 치료방법 과소 행동의 원인과 치료방법 - 과소 행동은 이미 학습되어 존재하는 행동이지만 개인적 및 사회적 요구 수준보다 행동의 발생빈도가 낮아 적응상의 문제를 야기하는 행동이다. 이때, 행동수정의 목표는 적절한 요구 수준으로 증가시키는 것이다. - 원인은 이미 학습된 바람직한 행동이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강화되지 못해 소거되고 있거나 불확실한 변별 학습 때문일 수 있다. - 과소행동을 증가시키기 방법은 표적 행동이 나타나면 후속 자극을 일관성 있게 강화해줘 표적 행동의 발생률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표적 행동이 일정한 선행 자극에서 발생할 때마다 일관성 있게 강화해 동일한 선행 자극에서 표적 행동이 다시 발생할 확률을 높이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선행 자극이 표적 행동을 잘 유도하지 못할 때 촉진 자극을 도.. 2021. 5. 22. 이전 1 ··· 44 45 46 47 48 49 50 ··· 53 다음